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시간을 줄여주는 블로그(IT, Azure)

Source NAT는 내부에서 외부로 통신할 때 주소 변환이 되어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. 여러가지 시나리오가 있지만, 보안관제나 PG사 혹은 VAN사와 연결할 때 일반적으로 Source NAT가 강제 됩니다. Azure는 NAT Gateway가 GA되면서 본격적으로 SNAT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기존에는 Azure External Load Balancer(ELB)를 쓰거나 Public IP를 할당하거나 3rd Party NVA를 쓰거나등의 방법이 있었는데, 위 3가지는 약간 쓰임새나 고려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SNAT가 필요하면 NAT G/W를 많이 쓰게 될 것 같습니다. 정리하면 제가 아는 범위에서 SNAT를 지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Azure VM에 Public IP를 할당 Azure..
Azure/Azure Networking
2020. 6. 12. 11:35